대면 점포 수는 줄지만 여전히 모바일 뱅킹이 어려운 사람들

몇 년 사이 대한민국에서는 은행 업무를 보러 창구로 간다는 사람이 눈에 띄게 사라졌다. 단순한 송금과 같은 시스템에 그쳤던 모바일 뱅킹이 온라인 시장 확장과 맞물려 그 영역을 넓힌 지 몇 년이 지난 지금, 이제는 카드 발급과 대출도 집에서 손쉽게 가능한 시대가 되었다. 금융권에서도 자체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 모바일 뱅킹 활성화에 힘을 쏟고 있으며, 다양한 핀테크 기업이 시장에 등장해 소비자의 편의를 높여주고 있다. 모바일 뱅킹의 성장세는 기업과 소비자 둘 다에게 분명히 돌아가는 이익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가능하다. 기업의 경우에는 점포 유지비용의 축소가 이점이 될 수 있고, 소비자의 경우에는 굳이 은행을 찾아가 업무를 봐야하는 번거로움이 줄었다.

모바일 뱅킹 서비스 이용 비율 / 출처 : 한국은행

그러나 기술의 발전에는 항상 이면이 존재하듯, 기술의 발전에 올라타 혜택을 보고 있는 기업이나 비교적 젊은 소비자와 달리 기술 취약 계층에게만은 모바일 뱅킹의 발전이 달갑지만은 않다. 특히 고령자 계층에게 모바일 뱅킹으로 인한 점포 수의 축소는 불편함과 더불어 박탈감마저 느끼게 할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한국은행 자료에 따르면 70대 이상의 모바일 뱅킹 서비스 이용 비율은 8.9%에 불과하다. 전체 연령의 평균 이용 비율인 57.1%에 비교하면 이는 얼마나 적은 수치인지 알 수 있다. 결국 이는 실제로 정보의 비대칭과 기술의 소외를 동시에 겪고 있는 고령자 계층이 얼마나 금융 서비스 이용에서 어려움을 겪을지 암시하는 대목이다.

비단 금융 서비스 문제뿐만 아니라 고령자의 불편은 현금 사용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실제로 고령자들에게는 현금 사용이 여전히 익숙한데, 70대 이상의 현금 사용 비율은 68.8%나 되기 때문이다. 이는 송금이나 카드 발급 등의 서비스를 떠나 고령자들이 소비 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현금의 인출에 있어서도 제약을 받음을 뜻하며, 더 나아가 소비 생활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뜻한다.

그렇다면 금융권은 이런 문제를 모르고 있을까? 그렇지 않다. 실제로 금융권은 점포 철수 등을 고려할 때 고령 소비자와 같이 취약 계층에 대해서도 고려해 신중하게 철수를 결정한다. 그럼에도 이미 많은 점포가 줄었고, 앞으로는 더 많은 점포가 사라질 예정이다. 이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점포 유지에 대한 이해타산이 맞지 않기 때문에 이해가 가는 결정이다. 그들이 취약 계층에 대한 복지 차원에서 접근성 좋은 1층 점포를 큰돈을 지불하며 유지하기에는 쉽지 않은 실정이다.

그렇다면 금융권과 국가는 이러한 취약 계층에 대해서 어떤 방안을 내세워야 할까? 먼저 기업 차원에서는 점포의 축소는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자신의 고객 중 일부인 취약 계층을 위해 반드시 대책을 마련해야한다. 그 대책으로는 금융 교육을 확대하는 방안일 수도 있고, 혹은 찾아가는 금융 서비스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는 시대가 급변하면서 벌어진 불평등 사례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국가의 대책 또한 요구된다. 디지털 환경의 변화를 거스르지 않는 차원에서 기업과 협업하여 보다 긴밀하게 취약 계층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다.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만하고 따라오지 못하는 약자들을 등한시하는 것은 바람직한 사회발전이라 볼 수 없다. 이를 반드시 해결해 앞으로의 세대에서는 한 명의 소비자라도 혜택을 온전히 누리지 못하는 일이 없도록 노력해야한다.

저작권자 © 소비자평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