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움츠러드는 와중에서도, 편의점은 승승장구

 

  장 보는 건 물론이고, 급하게 택배를 주고받거나 돈을 찾아야 할 때도 편의점을 찾는 게 일상이 됐는데, 온라인 유통업체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오프라인 유통업체가 움츠러드는 와중에서도, 편의점을 찾는 발길은 끊기지 않는다. 편의점 산업은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엔데믹 전환 이후 고물가와 고금리로 인해 소비 심리가 위축되는 상황에서도, 편의점 실적은 날개 돋친 듯 고공행진 중이다. 지난 2022년과 2023년, 편의점의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은 각각 10.8%, 8.1%였다. 전체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매출 증가율이 같은 기간 6.0%, 3.7%였다는 걸 고려하면 편의점의 나 홀로 성장은 주목할 만하다. 편의점의 매출 규모의 성장세도 뚜렷하다.

 2020년 약 26조 원 규모였던 편의점 매출액의 작년 추정 규모는 약 35조 원에 달한다. 이제 편의점의 매출 규모는 오프라인 유통의 1인자 백화점을 능가할 정도이다. 코로나19로 인해 일시적으로 편의점 매출 비중(16.6%)이 백화점(15.2%)을 넘어선 이후, 편의점이 다시 한번 오프라인 유통업체의 최강자로 떠오를지 눈길이 쏠리는데, 경기 침체 탓에 명품 소비가 감소하는 등 백화점의 성장세가 둔화한다는 걸 고려하면, 가능성은 더욱 높아진다. 편의점은 2021년(15.9%)에 이미 대형마트를 넘어서기도 했다.

 

 

인기가 많아질 수 밖에 없는 이유?

 최근 1인 가구가 급증한 것도 편의점의 질주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전체 가구 중 1인 가구의 비율은 2019년 처음으로 30%를 넘어선 뒤 매년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소비패턴도 당장 필요한 제품만 소량으로 구입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는 중이다. 편의점은 이 틈을 잘 파고들었다. 높은 접근성이라는 무기를 가진 편의점이 소용량, 소포장 제품을 내놓자, 편의점을 선호하는 소비층은 한층 넓어졌다. 1인분 용량의 밀키트뿐 아니라 소포장 과일·채소 등 신선식품과 생활용품 등으로 제품군을 강화하고 있다. 소규모 지역 상권을 촘촘히 장악해 가면서 틈새시장을 공략한 데 성공한 것이다. 

출처 |  CU
출처 |  CU

 여기에 e커머스의 성장이 편의점의 호실적에 반사이익을 가져다줬다는 분석도 나온다. 코로나19로 사람들의 일상에 빠르게 자리 잡은 e커머스는 대형마트나 백화점을 대체했는데, 편의점은 트렌드를 반영한 상품군과, 택배나 금융 서비스 같은 부가 생활 서비스 등을 내세움으로써 e커머스 약진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편의점 왕좌, 누가 오를까?

  현재 편의점 업계의 상황은 흥미진진하다. 편의점 빅2인 CU와 GS25가 업계 1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기 때문이다. 한동안 이어져 온 ‘점포 수 1위 CU, 매출 1위 GS25’의 공식이 깨지기 직전이다. 

CU, ZS25 매출 추이 | 출처 : 각 사 |  그래픽 : 윤선정 디자인 기자
CU, ZS25 매출 추이 | 출처 : 각 사 |  그래픽 : 윤선정 디자인 기자

 

 한편, 편의점 업계의 치열한 경쟁 구도에서 모두가 웃을 수만은 없다. 매출, 점포 수, 영업이익 모든 면에서 업계 3위인 세븐일레븐과 4위 이마트24는 영업적자를 걱정해야 하는 처지이다. 세븐일레븐을 운영하는 코리아세븐은 작년에 덩치가 비슷한 미니스톱을 인수하며 승부수를 걸었으나, 일부 미니스톱 점주가 세븐일레븐이 아닌 CU와 GS25로 전환되기를 선택하며 외려 두 회사의 점포 수가 늘어나기도 했다. 이에 최근 코리아세븐의 모기업인 롯데그룹 신동빈 회장은 수익성이 낮은 세븐일레븐 일부 사업의 구조조정 추진 의사를 밝히는 등 효율화를 꾀하고 있다. 이마트의 자회사 이마트24는 10년간 지속된 이마트의 지원사격에도 불구하고 실적 부진을 떨치지 못하는 중이다. 신규 출점과 사업 전략의 전환 같은 노력이 보다 절실한 때이다.

 

 

한계없이 진화하는 편의점

 편의점은 단순히 물건을 파는 곳을 넘어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변신하면서 이젠 일상에 없어선 안 되는 곳이 되었다. 웬만한 마트와 백화점과 맞먹는 편의점에 눈이 휘둥그레질 정돈데요. 일부러 편의점을 찾아가는 이유, 편의점마다 선보이는 PB 제품 때문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각 편의점은 차별화된 자체 상품을 내세워 소비자의 발길을 유도하는데, 작년에 전체 편의점 매출 중 PB 제품이 차지하는 비중은 30%에 달할 정도다. CU의 대표 PB 제품인 연세우유 크림빵 시리즈는 출시된 지 2년 만에 누적 판매 5,000만 개를 달성했고, GS25의 점보라면 시리즈는 신라면과 육개장 등 일반 라면을 제치고 매출 상위권을 기록했다. 세븐일레븐은 전 세계에 진출해 있다는 강점을 살려 일본, 대만, 태국, 베트남, 미국 등 5개국에서 인기 있는 PB 제품을 선별해 국내에 출시했다. PB 제품이 매출 상승의 필승 전략으로 통하면서, 편의점 업계의 PB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는 양상이다. 

 

출처 | GS리테일 공식 유튜브채널 화면캡처
출처 | GS리테일 공식 유튜브채널 화면캡처

 AI의 열풍은 편의점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AI 기술을 접목한 무인 편의점이 대표적이다. 편의점 앱에서 생성된 QR코드를 찍으면 제품을 들고 퇴장해도 자동으로 결제가 되는 식이다. 셀프계산대가 마련된 기존의 무인-반무인 하이브리드 편의점과는 엄연히 다른 형태이다. 계산 오류 등의 한계가 있기에 아직 테스트 단계에 머물러 있지만, 자동화를 향한 업계의 의지만은 분명해 보인다.

저작권자 © 소비자평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