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빠른 수요 대처가 성공 이끌어

스노우(SNOW) 어플리케이션 / Google 플레이 스토어

네이버의 자회사 스노우에서 개발한 AR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스노우(SNOW)가 카메라 앱 시장에서 80% 이상의 점유율을 기록했다. 모바일 앱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은 지난 7월 기준 국내 카메라 앱 월간 활성 사용자(MAU)가 1,089만명으로 집계되었으며, 스노우가 547만명으로 가장 높고, 스노우에서 개발한 소다(211만명)와 B612(203만명)가 그 뒤를 이어 스노우 계열 사용자가 전체 사용자의 88%에 달한다고 발표했다. 최근 진행된 서울시와 스노우가 함께한 마스크 착용샷 공유 캠페인인 ‘마스크 꼭 캠페인’에서는 총 52만명의 시민들이 참여하여 그 위상을 보여주었다.

스노우는 시장의 수요에 발빠르게 대처하며 이러한 성공을 이뤄냈다. 타 앱들과 달리 카메라 앱은 하나만 쓰지 않고 여러 개를 번갈아 사용하기에 수요가 있는 앱을 빠르게 출시한 것이다. 스노우는 2015년 출시된 이후, 음식 전용 카메라 ‘푸디’를 2016년에 출시했으며 스노우에서 인기 있는 필터를 모은 카메라 ‘소다’를 2018년 출시해 카메라 라인업을 다양화했다. 카카오의 ‘카카오톡 치즈’가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배경을 꾸미는 스티커로 활용했지만 시장에서 도태돼 서비스를 종료한 점과 대조된다.

스노우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 네이버

이러한 상황에서 스노우는 카메라 앱에 머물지 않고 콘텐츠 앱으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 AR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하고 재미있는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하고 있다. 최근 인스타그램 등 SNS서비스에서 짧은 영상을 업로드하는 트랜드가 이어지면서 이러한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네이버는 이미지 검색을 하는 스마트 렌즈, 자율주행 기술에 있어 중요한 기술인 영상 인식 기술을 발전시키면서 카메라 앱에 쓰이는 얼굴 인식 기술을 고도화할 수 있었기에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영상 콘텐츠를 만들기 위해서는 섬세한 얼굴인식 기술이 필요하다. 이용자의 특징점을 찾아내 얼마나 정확하게 스티커가 적용되고, 어떤 움직임을 추가하는지에 따라 재미 요소는 크게 달라진다.

스노우는 사실 지난 몇 년간 적자를 내고 있는 기업이었다. 2018년에는 609억원, 지난해에는 866억원의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하지만 네이버는 스노우를 전폭적으로 지원했다. 네이버는 스노우에 대해 매년 유상증자를 진행했으며, 지난 4월에는 700억원의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이러한 꾸준한 지원과, 기술개발을 통해 스노우는 상당한 사용자를 확보할 수 있었고 이는 곧 재무적인 성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소비자평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