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에만 총 70편 영화 공개 예정...<승리호> 공개 직후 글로벌 스트리밍 순위 1위

1997년 DVD 대여업으로 시작하여 전 세계 최대 OTT(Over The Top: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으로 성장한 넷플릭스가 지난해 최초로 유료 구독자 수 2억명을 돌파했다. 

지난 1월 20일, 넷플릭스는 2020년 4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분기 가입자 수가 851만명 증가했고, 유료 가입자 수는 총 2억366만명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0년 한 해 동안 가입자가 3,700만명 증가하면서 가입자 수 1억명을 달성했던 지난 2017년3분기 이후, 약 3년만에 2배의 유료 구독자 수 확보에 성공한 것이다. 연간 실적으로는 매출 250억 달러(약 27조 5천억원), 영업 이익 46억달러(약 5조원)를 기록하면서 전년대비 각각 24%, 76% 성장한 수치를 보여줬다. 경쟁사인 디즈니 플러스(Disney +)와 훌루(Hulu), HBO 맥스 같은 서비스가 지원 국가를 늘려가면서 공격적인 시장 확장 전략을 펼치는 가운데 거둔 유의미한 성과라 할 수 있다. 

넷플릭스가 시장의 기대를 웃돌며 빠르게 가입자 수 2억명을 확보한 데에는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늘어난 OTT 서비스 수요와지속적인 오리지널 콘텐츠 공급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세계 각국에 내려진 봉쇄 조치는 사람들이 집안에 머무는 시간을 증가시켰고 몇 년간 지속적으로 성장해오던 OTT 시장은 2020년을 기점으로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이에 대한 반사이익으로 이미 시장을 리드하던 넷플릭스는 <에밀리, 파리에 가다>, <래치드>, <브리저튼>,<퀸스 갬빗>, <스위트 홈> 같은 오리지널 시리즈들은 물론 <에놀라 홈즈>, <올드 가드> 같은 영화까지 연달아 히트시키며 콘텐츠 라인업 강화에 성공했다. 

극장 개봉 대신 넷플릭스를 택한 <승리호>는 하루만에 넷플릭스 글로벌 스트리밍 순위 1위를 기록했다. / 출처= Youtube <승리호> 런칭예고편

최근엔 제작비 240억원을 투자하고 송중기·김태리가 주연을 맡은 한국 최초의 우주 배경 SF 영화 <승리호>의 극장 개봉이 좌절되자, 310억원에 판권을 직접 매입하여 전 세계 190개국에 동시 공개한 바 있다. <승리호>는 지난 2월 4일 공개 직후 불과하루 만에 영상 콘텐츠 순위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flixpatrol.com)’ 기준 넷플릭스 글로벌 영화 스트리밍 포인트 총합 1위를 기록하면서 파란을 일으켰다. 앞서 2020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극장 개봉이 어려워진 한국 영화 <콜>, <사냥의 시간>, <차인표>도 넷플릭스를 통한 개봉을 선택했기 때문에, 이제는 제작사와 투자·배급사들이 제작비라도 건지기 위하여 넷플릭스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이처럼 넷플릭스는 업계 내외부를 막론하고 지대한 영향력을 미치며 세계 최대 OTT 플랫폼으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고있다. 2007년 처음으로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를 시작한 넷플릭스는 약 10년여 만인 지난 2017년 3분기에 유료 가입자 수 1억명을 넘겼다. 하지만 그 후 가입자 수가 2배가 되는 데에는 불과 3년 밖에 걸리지 않았다. 넷플릭스가 계속해서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하는 데에는 수많은 요인이 작용하겠지만 역시 ‘콘텐츠’ 역량 강화가 이들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 및 적극적인 판권 투자

2019년 3월, 넷플릭스 공동 창업자이자 최고경영자(CEO)인 리드 헤이스팅스(Reed Haistings)는 새로운 콘텐츠 전략 발표회에서 “우리는 기술 기업이 아니라, 디즈니 같은 미디어 기업”이라고 선언했다. 이 선언에는 2012년부터 확보해오던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의 라인업을 대폭 확대하고,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글로벌 17개 국가의 현지 제작사와의 파트너십을 강화한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었다. 실제로 넷플릭스는 본국인 미국을 벗어나 글로벌 시장에 첫발을 내딛은 2016년 이후부터 콘텐츠 확보를 위해 과감한 투자를 감행해 오고 있다. 2018년에만 매출액(157억 9,000만 달러)의 약 75% 수준인 120억 달러 정도를 콘텐츠 제작에만 투자했을 정도다. 치열한 OTT 시장에서의 경쟁에서 승리하려면 결국 ‘콘텐츠’에 집중해야함을 깨달은 넷플릭스의 이러한 추세는 시간이 지나면서 더욱 두드러지고 있다. 

넷플릭스 등록 콘텐츠 수 추이. 글로벌 진출을 선언한 2016년을 기점으로 오리지널 콘텐츠가 늘어나고 있다. / 출처=Reelgood.com

넷플릭스가 서비스하는 콘텐츠의 유형을 확인해보면 이러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 서치 엔진Reelgood.com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넷플릭스는 2015년까지 다량의 영화, 드라마, 다큐멘터리의 판권을 사들이는 전략을취해왔다. 2012년 기준 약 11,000개에 달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던 넷플릭스는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 한 2016년을 기점으로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대폭 늘리기 시작했다. 2018년 약 5,000편까지 감소해오던 전체 콘텐츠 수도 리드 헤이스팅스의 이른바 ‘미디어 기업’ 선언이 있던 2019년을 기점으로 2년 연속 증가하고 있다. 한국, 일본을 비롯한 다양한 국가에서 현지 파트너십을 통한 콘텐츠 제작·발굴에 주력해온 결과라 볼 수 있다. 

실제로 한국의 경우, 넷플릭스는 2016년 한국 서비스를 런칭한 이후 CJ ENM 및 자회사 스튜디오 드래곤과 ‘콘텐츠 제작 및글로벌 콘텐츠 유통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JTBC의 자회사인 JTBC 콘텐트허브와 3년간 콘텐츠 유통 파트너십을 체결한 바 있다. 단순히 새로운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을 넘어 한국 콘텐츠를 전 세계에 소개하는 하나의 유통 창구의 역할을하는 것이다. 이는 국내 콘텐츠 산업 전반의 ‘후방연쇄 효과(backward linkage effect)’로 이어졌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는 제작사부터 특수효과, 애니메이션, 시나리오, 음악, 배우 등 업계 전반에 걸쳐 커다란 영향력을 미치면서 이들의외형 성장 뿐만 아니라 질적 성장도 촉발하고 있다. 콘텐츠 사전 제작, 적절한 제작비 책정 및 지급 등 기존 국내 제작 시스템의고질적인 문제점을 넷플릭스가 해소해주며 체계적인 시스템을 구축되고 있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제작사 에이스토리의 <킹덤>을 비롯해 스튜디오 드래곤의 <스위트홈>, 오보이 프로젝트의 <보건교사 안은영> 같은 글로벌 스케일의 한국 오리지널 히트작들이 대거 제작되고 지난 2019년에는 에이스토리가 코스닥 시장에 상장하기도 했다. 

그리고 지난 1월 12일, 넷플릭스는 공식 유튜브 채널 영상을 통해 2021년에 매주 새로운 영화를 선보이고 1년 동안 총 70편에달하는 영화를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코로나19 사태로 침체기를 맞은 극장가를 대신하여 압도적인 물량 공세를 통해 무섭게 치고 올라오는 경쟁사 디즈니 플러스를 멀찌감치 앞서겠다는 전략이다. 이들의 전략에는 역시 극장 개봉을 미뤄오던 신작 영화들의 판권을 적절한 가격에 구매하는 것도 포함되어 있다. 이는 넷플릭스가 쌓아온 시장과 생태계가 코로나19의 힘겨운 상황속에서 위기에 처한 기존 영화 산업 전체를 이끌어가고 버텨나가는 데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는 사실을 평가절하할 수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저작권자 © 소비자평가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